Posts Tagged ‘버락 오바마’

누가 나이키를 신는가?

3월 31, 2019

듀크와 노뜨 캐롤라이나의 농구 시합은

쑤퍼보울 다음으로 표 값이 비쌉니다.

얼마나 비싸냐면,  그 돈이면 비지니스 클래스 타고

한국에 다녀 올 수 있을 정도입니다.

 

미국의 요르단에서 언급 했듯이 이 두 대학은

빅 댄스에 나가서 우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라이벌 경기를 이기는게 더 중요합니다.

 

얼마나 중요한 경기인지,

올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와서 구경했죠.

듀크는 랭킹 1위에다가

제일 잘나가는 자이언 윌리암슨 때문에

오바마같은 농구팬은 놓칠 수 없는 경기였습니다.

 

저도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모처럼 티브이 앞에서 관람을 했습니다.

그런데 경기 시작 후 30초 만에 대형 사고가 났습니다.

이에스피엔에게는 최악이었죠.

자이언 윌리암슨의 신발이 쭉 찢어지면서

무릎 부상으로 바로 락커룸으로 들어갔습니다.

maxresdefault

경기는 싱겁에 노뜨 캐롤라이나의 압승으로 끝나고

오바마는 경기가 끝나기도 전에 자리를 뜹니다.

조선에서는 ‘씨발’대신 점잖게

‘신발’이란 표현을 쓰죠?

윌리암슨은 락커룸에서 아마도

연실 ‘씨발 신발’ 외쳤을 겁니다.

 

나이키도 듀크와 함께 그 날 좆.망.했죠.

코.빅.의 양진호가 궁예옷을 입고

나와서 한마디 했으면 합니다.

“누구인가? 누가 나이키를 신는가?”

“네 놈의 신발에는 마군이가 끼었어.”

 

제가 어릴적에는

‘이렇게 비싼 신발을누가 사서 신냐?’

라고 신발 수입상 회장님께서 노발 대발하셔서

여기에 영감을 받은 광고주가

“누가 나이키를 신는가?” 라는 대박 광고를 탄생시켰죠.

언더 아머가 대세인 요즘,

중요한 경기에 쭉 찢어지는

나이키 신발을 사서 신을 일은 점점더 없어질 것 같습니다.

오바마 2기 출범

1월 22, 2013

기사가 가득했던 어제 월요일 저녁, 베이에어리어 첫 소식은 나이너스 수퍼보울 진출 소식이더군요. 앵커들이 더 좋아합니다. 지네들이 수퍼보을 취재가니까 말이죠. 입이 귀에 걸렸더군요. 팬들의 반응에서부터 어디서 표를 살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뉴올리언즈에 가는지 상세히 보도를 합니다. 호텔방이 없어서 아예 트레일러를 렌트해서 가려는 사람도 널렸다고 합니다. 샌프란에서 뉴올리언즈라.. 참.. 먼 거리인데 말이죠.

나이너즈 팬들은 샤도네이 브리라 불리운다죠? 워낙 비싼 동네에서 맥주가 아닌 와인을 마시며 풋볼도 점잖게 본다나 머라나..

만5천불짜리 패키지도 핫딜이라고 불티나게 팔린다니..

오바마 뉴타운 연설문 중에서

12월 20, 2012

전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구요,

연설을 듣던중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을 인용해 봅니다.

But we as a nation, we are left with some hard questions. You know, someone once described the joy and anxiety of parenthood as the equivalent of having your heart outside of your body all the time, walking around.

With their very first cry, this most precious, vital part of ourselves, our child, is suddenly exposed to the world, to possible mishap or malice, and every parent knows there’s nothing we will not do to shield our children from harm. And yet we also know that with that child’s very first step and each step after that, they are separating from us, that we won’t — that we can’t always be there for them.

They will suffer sickness and setbacks and broken hearts and disappointments, and we learn that our most important job is to give them what they need to become self-reliant and capable and resilient, ready to face the world without fear. And we know we can’t do this by ourselves.

It comes as a shock at a certain point where you realize no matter how much you love these kids, you can’t do it by yourself, that this job of keeping our children safe and teaching them well is something we can only do together, with the help of friends and neighbors, the help of a community and the help of a nation.

And in that way we come to realize that we bear responsibility for every child, because we’re counting on everybody else to help look after ours, that we’re all parents, that they are all our children.

This is our first task, caring for our children. It’s our first job. If we don’t get that right, we don’t get anything right. That’s how, as a society, we will be judged.

연설 중에 ‘부모가 된다는 것은 심장을 늘 밖에 내놓고 다니는 것과 같다’

는 표현이 나오는데, 누가 쓴 표현인지 참 맘에 듭니다.

자식 키워보기 전에 감히 사랑을 논하지 말라는 말도 떠오르구요.